기술 활용
글로벌 SCO₂ 프로젝트 현황표
State of arts of global SCO₂ project

글로벌 SCO₂ 프로젝트 상세
Detail of global SCO₂ projects
10MW급 SCO₂ 발전 실증 프로젝트
Supercritical Transformational Electric Power (STEP) Demo
미국 텍사스 산안토니오에서 진행 중인 STEP Demo는 세계 최대 규모의 초임계 CO₂ 실증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10 MW급 sCO₂ 브레이튼 사이클 플랜트를 구축하여 500~700°C의 고온 열원을 활용하는 발전 실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1단계 실증을 통해 효율성과 제어 가능성을 입증했으며, 소형·고효율 발전시스템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차세대 화력발전을 대체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국 에너지부(DOE)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유럽 산업 폐열 활용 SCO₂ 발전 프로젝트
CO2LHEAT
EU Horizon 2020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는 CO2OLHEAT 프로젝트는 체코의 CEMEX 시멘트 공장에서 2 MW급 폐열 기반 sCO₂ 발전 시스템을 실증하고 있습니다. 약 400 °C 수준의 산업 폐열을 전력으로 전환하여, 시멘트 산업과 같은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탈탄소화를 지원합니다. 또한 모듈형 설계를 통해 다른 산업단지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도록 확장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산업 폐열 → 전력’ 전환 기술을 유럽 전역에 보급하는 선도적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태양열·담수화 융합 SCO₂ 프로젝트
DESOLINATION
DESOLINATION은 고온·고압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한 sCO₂ 열교환기를 개발하여 CSP(집광형 태양열) 발전 및 담수화 시스템과 결합하는 프로젝트입니다. 600 °C, 250 bar 조건에서도 신뢰성 있는 작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발전·담수화 대비 20% 이상 높은 효율을 달성하려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물 부족 문제와 에너지 전환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융합형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집광형 태양열 기반 SCO₂ 발전 SOLARSCO2OL 프로젝트
Solar SCO2OL
Solar SCO2OL은 CSP 발전소를 기반으로 sCO₂ 발전 사이클을 도입하여, 태양열을 활용한 MW급 실증을 수행하는 EU 프로젝트입니다. 용융염 열저장 시스템과 결합해 물이 필요 없는 친환경 발전 블록을 구현하며, 발전 단가(LCOE)를 10 유로센트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사막 지역과 같이 물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도 적용 가능성이 큰 솔루션으로 평가됩니다.

체코 열에너지저장·코제너레이션 SCO₂ Efekt 프로젝트
sCO₂ Efekt
체코 기술청(TAČR)의 지원을 받아 진행 중인 sCO₂ Efekt 프로젝트는 열에너지 저장(TES)과 발전/난방 겸용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핵심 기자재의 소규모 모델을 제작하여 Sofia 테스트베드에서 성능을 검증하고 있으며, TRL 4에서 TRL 6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 열병합발전과 sCO₂ 사이클을 융합한 실증적 사업 모델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SCO₂용 고효율 터빈·열교환기 개발 CARBOSOLA 프로젝트
CARBOSOLA
독일에서 진행 중인 CARBOSOLA 프로젝트는 SCO₂를 작동유체로 활용하는 혁신적인 브레이튼 사이클을 연구합니다. 특히 소형·고효율 터빈과 열교환기를 개발하여 모듈형 테스트베드에서 성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독일 정부와 산업계가 공동으로 투자하는 이 프로젝트는 유럽 내 소규모 실증을 넘어, 향후 상용화 확산의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원자력 안전 수동냉각 시스템 SCO₂ HeRo 프로젝트
supercritical CO₂ Heat Removal System (sCO₂-HeRo)
sCO₂ HeRo는 원자로 사고 시 외부 전력 없이도 핵연료 잔열을 제거할 수 있는 sCO₂ 기반 냉각 시스템을 개발한 EU 프로젝트입니다. 터보컴프레서와 열교환기 시스템을 소형 실증으로 시험해 안전성을 입증했으며, 현재 TRL 5 수준까지 도달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원자력 안전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향후 상용 원자로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